Busan IT/제어기초2015. 1. 30. 17:43

** OrCad 사용방법.

 

OrCad에서 저장 시 저장경로에 가능한 한글과 빈칸을 넣지 않는다.

 

OrCadPCB에 실습을 하기 전에 먼저 회로도를 그려보는데 쓰인다..

 

첨부된 매뉴얼을 읽고 대략적인 조작법을 익혀보자.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프로그램

학습목표 :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프로그램의 종류와 해당 하드웨어를 이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Unit)

- 마이크로컴퓨터에 사용된 단일 Chip CPU

Hardware적 구조:CPU+I/O 장치

- 용도: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의 CPU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Date의 처리에 적합

ex) 8051

 

마이크로컨트롤러(MCU)

- MPUCPU기능 + 메모리(ROM, RAM), I/O제어 회로 등을 하나의 칩에 내장

- 단일칩, one-chip 마이크로 컴퓨터, 임베디드 마이크로 컨트롤러라고도 함.

- Hardware 구조: CPU + Memory, I/O

- 용도 : 시스템의 입출력 제어용

ex) Atmega, ARM, Coretex M3, PIC, DSP

 

* - 이를 제어하기 위해 C언어를 공부한다.

- 사람이 이해하기 편할수록 고급언어, 기계어에 가까울수록 저급언어이다.

- 주기억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로 정보를 전달하고 보조기억장치는 물리적인 신호를 쓴다.

 

<구조 및 용도에 의한 분류>

 

General Purpose u-processor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 CPU의 기능만을 갖추고 있다.

- CPU: Register Set, ALU(Arithmetic and Logic Unit), CLU(Control Logic Unit)

 

Single chip or One chip u-Computer

- CPU 기능 + Memory, I/O Interface회로를 하나의 Chip에 내장시킨 u-Processor

- 기본적인 컴퓨터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시스템 제어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Bit-slice u-Processor

- 2 Bit 또는 4 Bit의 기본 구성 단위로 되어 있는 u-Processor

- 미니컴퓨터의 설계, 실험실 수준에서의 CPU설계 등에 사용

 

<Bit 수에 의한 분류>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Date Bit의 수에 따라 4, 8, 16, 32, bit 형으로 분류

반도체 기술의 발달에 따른 흐름

PMOS, NMOS, CMOS, Schottky TTL, HMOS, CHMOS, HCMOS, XMOS

* MOS(meter onside silicon)

MOS의 차이는 반도체 공정에 따라 발생한다.

 

<명령어 구조에 의한 분류>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많은 수의 명령어- 일반적으로 100~250개의 명령어

- 몇몇 명령어는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며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 일반적으로 5~20가지의 모드

- 가변 길이 명령어 형식

- 메모리의 피 연산자를 처리하는 명령어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 및 Addressing Mode

- 메모리 참조는 loadstore명령으로 제한된다.

- 모든 동작은 CPU의 레지스터 안에서 수행된다.

- 고정된 길이 명령어 형식으로 Decoding이 간단하다.

 

폰 노이만 방식

- 폰 노이만 -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형 컴퓨터를 고안한 수학자

- 폰노이만이 고안한 방식은 50년이 넘은 지금까지 컴퓨터의 근본 원리

- InterAMD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폰 노이만 방식의 컴퓨터

- 실행할 프로그램

-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

-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프로세서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

- 프로세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 구성

- 이중가장 핵심은 메모리와 프로세서

- 프로세서가 입출력 장치를 메모리의 일부라고 간주 함.

- 결국 컴퓨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된 단순한(?) 기계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특징

 

1. 소형, 경량화가 가능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응용범위와 주변 소자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회로가 간단.

2. 가격이 저렴

하나의 칩 안에 입/ 출력포트, /병렬통신, 기억소자, 카운터/타이머 등을 내장

3. 타 시스템과의 이식성이 뛰어나다.

작은 변경 혹은 기능의 추가를 쉽게 달성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4. 신뢰성이 높다.

시스템 구성 소자 수가 적어 신뢰성이 높다.

 

응용분야

 

1.산업분야

모터제어, 로봇공학, 프로세서 제어, 수치제어, 지능형 변환기 등

2.계측 분야

액체/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의료용 계측기, 오실로스코프

3.가전분야

비디오 레코더, 레이저 디스크 구동부, 비디오 게임, 전자렌지, 에어컨

4.유도 및 제어분야

미사일 제어, 지능형 무기, 우주선 유도 제어

5.데이터 처리분야

플로터, 복사기, 프린터, 하드디스크 구동부

6. 정보통신 분야

모뎀, 지능형 카드 제어

7. 자동차 분야

점화제어, 변속기 제어, 연료분사제어, 브레이크 제어

 

 

PROGRAM

 

 

 

Software의 대 분류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자 관심의 특별 형태의 작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

시스템 소프트웨어: 운영체계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Utility

작지만 제한된 능력을 가진 유용한 프로그램

디스크 조각 모음, 압축, 암호 해제, 바이러스 검사

응용 프로그램 실행기, 텍스트 편집기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컴퓨터의 H/wS/W사이를 중계하여 입/출력을 관장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를 처음 부팅 할 때부터 전원을 끌 때까지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컴퓨터를 부팅할 때 시스템을 자기 진단하여 고장유무를 판단

디스크 드라이버, 모니터, 키보드 등과의 기본적 연결 상태를 설정해 준다.

 

RAM

Random Access Memory

필요할 경우 data를 쓰고 지우고 할 수 있는 기억장치

휘발성을 메모리이다. 저장을 하지 않으면 지워진다.

 

SRAM(STATIC RAM)

전원이 나가도 계속해서 저장된 Data를 유지

읽기/쓰기 시간이 DRAM에 비해서 빠름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DRAM(Dynamic RAM)

저장된 Data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간격 Refresh가 필요

가격이 SRAM에 비해 저렴하다.

 

 

ROM(Read Only Memory)

저장된 Data를 읽을 수만 있고 쓸(변경할) 수 없는 메모리

데이터를 한번 쓰면 변경할 수 없다.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자외선을 이용하여 저장된 Data를 지운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지운다.

 

Flash Memory RAM

Block 단위로 데이터를 지울 수 있고, 프로그램 할 수 있는 Memory

Block 단위로 쓰기, 지우기가 가능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비 휘발성 Memory

 

Cashe Memory

CPUMemory (DRAM)의 가운데 위치 또는 동일 chip내에 위치

Access time을 향상하여 시스템 전체의 실행 속도향상

주로 Static RAM을 사용

 

마이크로 컨트롤러.hwp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
Busan IT/제어기초2015. 1. 29. 17:34


And Logic transisor.DSN


Capacitor.DSN


NPN transistor.DSN


OR Logic transistor.DSN


전기회로와 트랜지스터&amp;캐피시터.hwp

전기회로와 트랜지스터/캐피시터

 

학습목표 : 전기회로에서 트랜지스터/캐피시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한다.

트랜지스터(NPN)으로 AND/OR논리회로를 만들 수 있다.

캐피시터로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를 만들 수 있다.

 

1.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하면 떠 오르는 것이 증폭이다. 하지만 디지털 분야에서는 switching을 더 많이 사용한다.

 

트랜지스터를 여러개 모아서 만든 직접회로가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이다.

 

트랜지스터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NPN

PNP

 

 

기호에 나오는 화살표의 방향은 전류의 흐름을 뜻한다.

 

PNP의 경우는 가운데 N에서 양쪽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N의 도핑정도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정해진다.

 

트랜지스터를 그릴 때 전류가 시작되는 부분은 B(Base) 전류가 나가는 방향은 E(Emit)

다른 한 방향은 C(collector)이다.

 

NPN 트랜지스터에서 스위치를 켜면(B에 전류가 흐르면)C에서 E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1) NPN AND Logic 회로

 

스위치가 하나만 켜졌을 때는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트랜지스터는 baseemitter 사이에 0.7v의 전압이 인가되면 c에서 e로 전류가 흐른다.

 

때문에 위에 그림에서 두 개의 경로에 다 전압이 인가되어야 전류가 흐리게 된다.

 

 

2) NPN OR Logic 회로

 

하나의 스위치만 켜져도 불이 들어오는 논리회로를 말한다.

 

 

3)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Unstable Multi-vibrator)

 

 

캐피시터는 충전을 완료하면 전류를 방전한다. 때문에 캐피시터의 용량이 높을수록 불이 깜빡거리는 시간이 커진다.

 

이제 회로도 그리는 방법을 학습한다.

 

앞으로는 회로도를 그려가면서 수업을 진행한다.

 

 

<<Summary>>

 

- 트랜지스터는 전기회로에서 스위치 역할로 주로 사용된다.

- 실습 1. NPN트랜지스터를 사용한 AND/OR 논리회로 만들어 보기

2. NPN트랜지스터와 캐피시터를 활용한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서 만들어 보기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
Busan IT/제어기초2015. 1. 28. 22:12

캐퍼시터/인덕터/다이오드(반도체) 기능과 특성

학습목표 -캐퍼시터/인덕터/다이오드(반도체) 기능과 특성을 이해한다.

 

1. 캐피시터(Capacitor) ; 축적

콘덴서로 알려져 있는 전기를 저장하는 소자로써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고 전하를 모은다.

캐피시터에 전압을 가하면 이것은 대전된 상태로 변화한다. 이때 전압을 가하는 것을 중단하여 대전된 상태가 지속된다.

우리가 일상에서 있는 캐피시터의 예는 핸드폰 충전기이다.

기능 : 캐피시터는 고역을 통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한다.

특징 : 직률전류를 차단하고, 높은 주파수에서만 흐르며, 용량이 클수록 교류 전류를 흘린다.

종류 : 전해 캐피시터, 세라믹 캐피시터, 마일러 캐피시터, MKT 캐피시터, 탄달 캐피시터, 마이카 캐피시터, 스티젠 캐피시터.

활용 : 캐피시터의 단위는 pF, mF이고 용량값은 자리수 마지막 끝자리면 0 개수를 나타내며 색깔로 표시된 표를 보고 수치를 읽는다.

 

2. 인덕터; 방출

인덕터는 동선을 나사 모양으로 감은 코일이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의 형성 자속이 발생하여 코일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동작을 한다.

전류 = 1/흐름

인덕터의 값은 인덕턴스라고하며 단위는 H(헨리)이다.

 

특징 :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는 성질(, 변화를 싫어한다.)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여 반대편에도 전류가 흐르는 상호 유도 작용 현상을 일으키며, 전자석의 성질을 지녔다. 공진을 하며,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 시킨다. 직류는 통과시키고 교류는 막는 역할을 한다.

 

종류 : 트로이달 코일, 고주파용 코일, 가변형 코일

 

3. 반도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도체/부도체가 있는 물체, 경우에 따라 빛을 내는 특별한 성능을 가질 있다.

 

특징 : 열을 가하면 저항이 작아진다(금속은 이와 반대). 불순물의 양으로 저항을 조절할 있으며,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걸러내는 정류작용을 한다(다이오드). 빛을 쬐면 전자가 튀어 나오며(광전효과), 발광작용을 한다.

 

종류 : N 반도체 - 전자가 많은 반도체(-극성)

            P 반도체 - 정공이 많은 반도체(+극성)

 

4. 다이오드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이다. 정류기, 검파용 전류 스위칭으로 사용

 

종류 : 정류다이오드, 스위칭다이오드, 정전압 다이오드, 가변용량, 터널, 쇼트키, 발광, 포토, 배리스터 다이오드

 

반도체의 전류/전자의 흐름 : 전류는 +에서 - 흐른다. 전자는 -에서 + 흐른다.

반응형

'Busan IT > 제어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GO - Mindstorm  (0) 2015.02.04
ADC와 Lego Mindstorm  (0) 2015.02.03
마이크로 컴퓨터와 ADC & DAC  (0) 2015.02.02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프로그램  (0) 2015.01.30
전기회로와 트랜지스터/캐피시터  (0) 2015.01.29
Posted by newi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