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퍼시터/인덕터/다이오드(반도체)의 기능과 특성
학습목표 -캐퍼시터/인덕터/다이오드(반도체)의 기능과 특성을 이해한다.
1. 캐피시터(Capacitor) ; 축적
콘덴서로 알려져 있는 전기를 저장하는 소자로써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고 전하를 모은다.
캐피시터에 전압을 가하면 이것은 대전된 상태로 변화한다. 이때 전압을 가하는 것을 중단하여 대전된 상태가 지속된다.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캐피시터의 예는 핸드폰 충전기이다.
기능 : 캐피시터는 고역을 잘 통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한다.
특징 : 직률전류를 차단하고, 높은 주파수에서만 잘 흐르며, 용량이 클수록 교류 전류를 잘 흘린다.
종류 : 전해 캐피시터, 세라믹 캐피시터, 마일러 캐피시터, MKT 캐피시터, 탄달 캐피시터, 마이카 캐피시터, 스티젠 캐피시터.
활용 : 캐피시터의 단위는 pF, mF이고 용량값은 자리수 마지막 끝자리면 0의 개수를 나타내며 색깔로 표시된 표를 보고 그 수치를 읽는다.
2. 인덕터; 방출
인덕터는 동선을 나사 모양으로 감은 코일이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의 형성 자속이 발생하여 코일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동작을 한다.
전류 = 1/흐름
인덕터의 값은 인덕턴스라고하며 단위는 H(헨리)이다.
특징 :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는 성질(즉, 변화를 싫어한다.)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여 반대편에도 전류가 흐르는 상호 유도 작용 현상을 일으키며, 전자석의 성질을 지녔다. 또 공진을 하며,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 시킨다. 직류는 통과시키고 교류는 막는 역할을 한다.
종류 : 트로이달 코일, 고주파용 코일, 가변형 코일
3. 반도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도체/부도체가 될 수 있는 물체, 경우에 따라 빛을 내는 등 특별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특징 : 열을 가하면 저항이 작아진다(금속은 이와 반대). 불순물의 양으로 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걸러내는 정류작용을 한다(다이오드). 빛을 쬐면 전자가 튀어 나오며(광전효과), 발광작용을 한다.
종류 : N형 반도체 - 전자가 많은 반도체(-극성)
P형 반도체 - 정공이 많은 반도체(+극성)
4. 다이오드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이다. 정류기, 검파용 전류 스위칭으로 사용
종류 : 정류다이오드, 스위칭다이오드, 정전압 다이오드, 가변용량, 터널, 쇼트키, 발광, 포토, 배리스터 다이오드
반도체의 전류/전자의 흐름 : 전류는 +에서 -로 흐른다. 전자는 -에서 +로 흐른다.
'Busan IT > 제어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GO - Mindstorm (0) | 2015.02.04 |
---|---|
ADC와 Lego Mindstorm (0) | 2015.02.03 |
마이크로 컴퓨터와 ADC & DAC (0) | 2015.02.02 |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프로그램 (0) | 2015.01.30 |
전기회로와 트랜지스터/캐피시터 (0) | 201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