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정보산업진흥원/HW 관리'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7.04.25 사용자 관리 및 네트워크 설정
  2. 2017.04.11 리눅스 기본 명령어 - 파일의 생성 이동 그리고 검색
  3. 2017.04.10 리눅스 설치 및 기본 명령어

- 사용자 관리

- ACL(Access Control List)

- 네트워크 설정



- 사용자 관리

  리눅스에서는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3가지 파일이 사용된다. 

1. /etc/passwd

2. /etc/group

3. /etc/shadow


1. /etc/passwd

  해당 파일은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는,

사용자 이름:패스워드:UID:GID:GECOS:Home:Shell 로 구분된다.

      N  :   P  :  U  :  G  :  C  :  H  :  S


2. /etc/group

* 사용자는 반드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야 한다.

  그룹 정보를 볼 수 있는 파일이며 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는,

사용자 이름:패스워드:그룹ID:구성원 으로 구분된다.


3. /etc/shadow

  사용자의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보안을 위해 암호는 hash table을 사용하여 변환한 값을 저장한다. 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는,

사용자 이름:Hash패스워드:최근비밀번호수정일:비밀번호변경후최소유지기간:암호변경없이사용가능한기간:암호만료전경고기간:암호만료후사용자계정만료까지의유예기간:사용자계정만료시기

사용자의 구분은 UID로 이루어진다. 0은 슈퍼유저, 1-200은 정적 할당된 시스템 사용자, 201-999는 파일을 소유하지 않은 시스템 사용자이다.


useradd/usermod/userdel을 사용하여 유저를 추가, 수정, 삭제 할 수 있다. 유저를 삭제 할때는 '-r'을 옵션을 사용해 주어야 홈 디렉토리가 같이 삭제된다. 유저의 홈 디렉토리를 수정하고 싶을 경우 '-dm' 옵션을 사용해 주어야 기존 홈 디렉토리가 원하는 주소로 변경되게 된다. '-d' 옵션은 홈디렉토리의 주소를 수정해주는 옵션이고, '-m'은 홈디렉토리를 이동시켜 주는 옵션이다.


** 세부 옵션은 man 명령어를 사용하여 학습한다.


- ACL(Access Control List)

  폴더나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의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이다. ls -al 명령어를 사용하여 폴더/파일의 정보를 읽을 때, ACL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 rwx rwx rwx . 권한 마지막이 '.'으로 표시되며, 설정 후 이것은 '+'로 바뀐다.

  ACL는 기존의 권한 설정값(rwx)보다 우선되며, ACL으로 접근 권한 설정 시 UID, GID, 이외 그룹 순으로 접근 권한을 읽어 들이며, 가장 먼저 읽어 들인 값으로 ACL 정보가 설정된다.


-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은 'nmcli' 명령어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명령어를 모를 경우 tap 키를 두번 입력하여 제공되는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고 진행하면 쉽다.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

[개요]

- 파일의 생성

- 파일의 제거

- 파일의 이동

- 파일의 검색



[과제] 

실습.txt

 


Linux에서는 모든 객체를 파일로 인식한다. 이러한 파일들을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계층구조)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Linux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파일들의 특성을 인식하고 파일의 생성, 이동 그리고 검색 기능을 숙달하여야 한다.

  Linux시스템에서는 명령어에 대한 사용법을 'man(ual)'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cd(change directory)라는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고 싶은 경우 'man cd'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당 명령어에 대한 메뉴얼을 열람할 수 있다. 


- 파일의 생성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 touch

- mkdir


[touch]

  touch명령어는 용량이 0인 파일을 생성해주거나 존재하는 파일명을 입력해줄 경우, 해당 파일의 업데이트 날짜를 현재 시점으로 갱신한다.

** 사용법이나 옵션은 메뉴얼에 나와 있음으로 상세한 기재는 피한다.


[mkdir]

  make directory의 약어로써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쓰인다.


* 파일을 새롭게 생성하지 않고, 파일이 저장된 위치나 파일이 저장된 주소에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여 연결시켜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을 링크(link)라고 한다. 링크에서는 하드링크(hard link)와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가 있는데 하드링크는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파일 자체가 가리키는 것이고, 심볼릭 링크는 파일의 기본적인 정보(이름, 크기, 주소, 권한...)을 가진 i-node 테이블을 참조하여 링크를 만드는 방식이다.


- 파일의 제거


  파일을 제거할 때는 'rm(remove)'라는 명령어가 사용된다. 디렉토리를 제거할때는 -r(recursive)라는 옵션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rmdir(remove directory)이라는 명령어도 지원해준다.


- 파일의 이동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는 파일을 복사하는 cp(copy), 파일을 이동 시키는 mv(move) 명령어가 있다.   



- 파일의 검색

  파일(파일의 내용)을 검색하는 명령어는 grep이고 형식은 아래와 같다. 

grep [옵션] 찾을 문자열 찾는 범위


*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은 중요함으로 grep의 옵션과 정규식에 대한 이해와 숙지가 필요하다.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


[개요]

- 리눅스 설치

- 기본 명령어


- 리눅스 설치


  리눅스 운영체제에 대하여 수업을 하고 있다. 수업 환경을 위해 우선 VMware와 linux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개인 PC에 설치한다. (Ram 2GB, HDD 4GB)


*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업에서 제공한 ova 파일을 사용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CPU, 메모리, I/O 시스템 그리고 대용량저장장치로 구성된다.


  운영체제의 3요소는 Kernel, Shell, 디렉토리로 구성된다. Kernel은 물리적인 장치를 관리하기 도구이고, shell은 kernel를 사용하여 물리적 장치를 관리하는 도구이다.


* GNU stands for GNU is not Unix(Recursive acronym)


- 기본 명령어


- WMWare를 사용하여 Centos7 OS를 설치한 후에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하여 간단한 명령어를 알아보자.

우선 명령프롬프트를 실행 시켰을 때, 명령프롬프트 창에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 된다.

ID@접속경로 현재폴더>권한

ID: 시스템에 접속할 때 사용한 ID가 표시된다.

접속경로: 기본값으로 local host가 표시된다.

현재폴더: 접속하였을 때 위치한 폴더의 경로가 표시된다.

권한: # = 관리자, $ = 사용자


-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Linux bash 명령어]

* 명령어 체계: command [option] [argument]

* 언어변경: window + space

* 콘솔변경: Ctrl + Alt + F1~6


현재 경로를 표시: pwd


명령어가 저장된 위치 표시: which

ex) which date


표준 시간 표시/업데이트: rdate -p/-s [표준시간제공서버]

*p: 표시, s: 동기화

ex) rdate -s time.bora.net


문자 입력 중 이전 명령어 표시: ESC + '.'


메세지 수신 차단/해제: mesg y/n


접속된 사용자 표시: w


메세지 발신: write [ID] [channel]


브로드캐스트 : wall 전달할 메세지


현재 폴더에 존재하는 파일(디렉토리) 표시: ls [option]

<OPTION> 

- default: C

- 전체표시: a

- 상세표시: l

- i-node 표시: i

- 모든 하위 디렉토리 경로 표시: -R

- 파일의 특성을 나타낸다: -F(디렉토리(/), 링크(@), 실행파일(*))


경로 이동: cd

경로 이동 시, 이동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은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가 있다. 사용자의 홈 경로로 가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있다. 

1. cd ~

2. cd /

3. ?


파일의 type을 보는 명령어: file '파일명'


파일 읽기: cat(catenate) ''파일명'


파일 처음부터 읽기: head [option] '파일명'

파일 끝부터 읽기: tail [option] '파일명'

<OPTION>

- 기본적으로 10줄을 표시한다.

- '-숫자' 넣으면 처음(head) 혹은 끝(tail)에서부터 몇줄을 표시할지 지정한다.

- '-n' 옵션을 사용하고 +/-숫자를 입력하여 몇줄을 표시할지 지정한다. 

tail에 경우 처음을 기준으로 덧셈 뺄셈을 하여 몇줄을 표시할지 결정하는데 0보다 작은 값일 경우나 최대줄 수를 넘어갈 경우, 링 형식으로(0 ~ 최대값)으로 반복된다.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