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리눅스 설치
- 기본 명령어
- 리눅스 설치
리눅스 운영체제에 대하여 수업을 하고 있다. 수업 환경을 위해 우선 VMware와 linux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개인 PC에 설치한다. (Ram 2GB, HDD 4GB)
*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업에서 제공한 ova 파일을 사용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CPU, 메모리, I/O 시스템 그리고 대용량저장장치로 구성된다.
운영체제의 3요소는 Kernel, Shell, 디렉토리로 구성된다. Kernel은 물리적인 장치를 관리하기 도구이고, shell은 kernel를 사용하여 물리적 장치를 관리하는 도구이다.
* GNU stands for GNU is not Unix(Recursive acronym)
- 기본 명령어
- WMWare를 사용하여 Centos7 OS를 설치한 후에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하여 간단한 명령어를 알아보자.
우선 명령프롬프트를 실행 시켰을 때, 명령프롬프트 창에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 된다.
ID@접속경로 현재폴더>권한
ID: 시스템에 접속할 때 사용한 ID가 표시된다.
접속경로: 기본값으로 local host가 표시된다.
현재폴더: 접속하였을 때 위치한 폴더의 경로가 표시된다.
권한: # = 관리자, $ = 사용자
-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Linux bash 명령어]
* 명령어 체계: command [option] [argument]
* 언어변경: window + space
* 콘솔변경: Ctrl + Alt + F1~6
현재 경로를 표시: pwd
명령어가 저장된 위치 표시: which
ex) which date
표준 시간 표시/업데이트: rdate -p/-s [표준시간제공서버]
*p: 표시, s: 동기화
ex) rdate -s time.bora.net
문자 입력 중 이전 명령어 표시: ESC + '.'
메세지 수신 차단/해제: mesg y/n
접속된 사용자 표시: w
메세지 발신: write [ID] [channel]
브로드캐스트 : wall 전달할 메세지
현재 폴더에 존재하는 파일(디렉토리) 표시: ls [option]
<OPTION>
- default: C
- 전체표시: a
- 상세표시: l
- i-node 표시: i
- 모든 하위 디렉토리 경로 표시: -R
- 파일의 특성을 나타낸다: -F(디렉토리(/), 링크(@), 실행파일(*))
경로 이동: cd
경로 이동 시, 이동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은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가 있다. 사용자의 홈 경로로 가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있다.
1. cd ~
2. cd /
3. ?
파일의 type을 보는 명령어: file '파일명'
파일 읽기: cat(catenate) ''파일명'
파일 처음부터 읽기: head [option] '파일명'
파일 끝부터 읽기: tail [option] '파일명'
<OPTION>
- 기본적으로 10줄을 표시한다.
- '-숫자' 넣으면 처음(head) 혹은 끝(tail)에서부터 몇줄을 표시할지 지정한다.
- '-n' 옵션을 사용하고 +/-숫자를 입력하여 몇줄을 표시할지 지정한다.
tail에 경우 처음을 기준으로 덧셈 뺄셈을 하여 몇줄을 표시할지 결정하는데 0보다 작은 값일 경우나 최대줄 수를 넘어갈 경우, 링 형식으로(0 ~ 최대값)으로 반복된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HW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관리 및 네트워크 설정 (0) | 2017.04.25 |
---|---|
리눅스 기본 명령어 - 파일의 생성 이동 그리고 검색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