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네트워크 서브넷팅(Network Subnetting)

- Cisco Packet Tracer를 활용한 Router Setting


[용어]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로써 클래스에 고유로 할당된 네트워크를 나누어 사용할 때 쓰인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32bit 주소 체계에서 1의 개수가 앞에서부터 몇 개인지 표시하여 네트워크 서브네팅 상태를 표시해주는 지표 

[Note]

20170328 노트.txt


[File]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1.egg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2.egg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3.egg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4.egg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5.egg

Cisco Packet Tracer 6.2 for Windows Student Version (no tutorials).vol6.egg

 0828_추가실습.pkt

 0328_추가실습_topology.pptx




- 네트워크 서브네팅(Network Subnettin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데 있어 할당된 클래스(class-full)의 크기보다 네트워크의 규모를 분할하여 사용하고 싶은 경우,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네트워크 서브넷팅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C class에 할당된 host ID는 256개인데, 중소기업에서 각 부서별로 50개씩 할당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할 때, 서브네팅 없이 기존 C class를 활동한다면 부서의 개수만큼의 C class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하지만 256개 Host를 50개에 맞는 네트워크 규모로 분류하여 활동한다면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서브네팅을 하기 위해서는 host ID를 어느 클래스에서 몇분할 할지에 대한 선언이 필요한데 이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서 선언해 준다. 위에 예의 경우, 50개의 네트워크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50이상 2의 승수에서 가장 가까운 수인 64개가 되도록 분할하여야 한다. 분할 정도를 나타내는 서브넷 마스크는 class 이후에 host ID를 갖는 주소 자리(C class의 경우 4번째 주소 시작부터)를 이진법으로 표시하고 분할 숫자만큼 첫 째 자리부터 1을 채워주면 된다.  한 네트워크가 64개가 되도록 분할해 주어야 되기 때문에 256이란 숫자에서 4를 나누어 주어야 한다. 즉 분할은 2번이다.(1번 분할, 네트워크 2개. 2번 분할 네트워크 4개...) 때문에 마지막 자리를 이진법으로 표기하면 1100 0000이 되고 10진수로 표현하면 192(128+64)가 된다. 




  네트워크에 서브네팅이 되어 있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주소를 사용한다. 둘 다 IP 주소 표기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서브네 마스크는 이진법으로 네트워크 ID 부분을 1 호스트 ID 부분을 0을 표기하기 때문에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표기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IP 주소가 218.39.221.67/26 이면 2번 분할 즉, C class가 4개로 된 네트워크에 2번째 분할된 부분의 host IP가 218.39.221.67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Cisco Packet Tracer를 활용한 Router Setting


Cisco에서 제공하는 Cisco Packet Tracer로 네트워크를 구축해 보자.


Route: 2811

Switch: 3560-24PS, 2950-24

Hub: PT

EndDevice: Generic 


각 장비는 선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는데 전송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다.

PC, Router:  TX, RX

Hub, Switch: RX, TX

선을 연결할 때 RX선은 연결된 장비의 TX, TX는 연결된 장비의 RX에 연결해야 한다.

연결선은 통신선의 순서가 변동이 없는 Straight-Through, RX-TX의 순서가 바뀌는 Cross-Over가 있다. PC와 Router를 연결할 경우 Cross-Over선을 사용해야 하고, PC와 Switch의 경우 Straight-Through를 사용하면 된다.


연결이 되고나면 ping 신호를 보내 제대로 통신이 되는지 확인한다. 확인이 되면 router 장비 설정을 해보자.


화면에서 router 장비를 누르고 CLI tap으로 간다.



설정 dialogue에서 "No"를 선택하고 기본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본다.


일반적인 모드에서는 이름 옆에 ">"가 되어 있지만 Privileged 모드가 되면 이름 옆에 표시가 "#" 바뀐다.

Privileged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는 "enable"이다.


** 명령어를 모를 때는 '?'를 부르면 명령어 목록이 뜨고 명령어의 이름이 가물치일 경우 'tap'키를 눌러서 자동완성을 시킨다.


[인터페이스 설정]

- Hostname 변경

1. 설정 변경을 위해 'configure terminal'을 입력

2. 'hostname 변경할 이름'을 입력


- IP 추가

1. 'configure terminal' 입력 후

2. interface 이더넷장치 

ex) interface fa0/0

3. ip address A.B.C.D 서브넷


[설정된 인터페이스 확인]

- 간략하게 전체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show ip interface brief

- Running memory에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show running-config

- Startup memory에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show startup-config


[Running-config에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startup-config에 복사]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반응형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0) 2017.04.04
Routing Table 관리  (0) 2017.03.30
OSI 7계층 정리  (0) 2017.03.27
시험예상문제  (0) 2017.03.23
OSI 7계층: 4계층 전송계층(Transportation Layer)  (0) 2017.03.23
Posted by newind2000

[개요]

- OSI 7계층

- IPv4 주소 체계(Class 정리)

- 예약된 주소


노트

20170327 노트.txt



- OSI 7계층

계층 

설명 

PDU 

프로토콜 

장비 

 Application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FTP, HTTP, SMTP 

Presentation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맷, 표현 방식 

JPG, MPEG, ASCII

Session 

애플리케이션간 세션 연결 및 종료

-

NetBIOS, TLS

Transport 

투명한 데이터 전송 관장 

Segment

UDP, TCP 

Gateway 

Network

네트워크 연결 및 경로 설정 

Packet 

IP, ARP, ICMP 

Router 

Data Link

Network와 Physical 계층을 연결 

Frame 

Token Ring, Ethernet 

LAN Card, Switch 

 Physical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

Bit 

-

데이터 케이블, 허브, 리피터, RJ-45

ㅡㅡ  서비스 계층     ㅡㅡ 연결계층


- 주소 정리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주소는 크게 MAC 주소와 IP주소로 나뉜다.

 

 MAC Address

IP Address 

주소 길이

6Byte(48bit)

ex) D4-BE-D9-8B-6F-0B(16진법)

 4Byte(32Bit)

ex) 218.39.221.77(10진법)

주소 변동

없음

있음(네트워크 변경시 )

체계

앞에 3Byte는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뒤에 3Byte는 제품 시리얼 번호

Network + Host 


- IPv4 주소 체계(Class 정리)

IPv4 주소는 첫번째 옥텟의 주소가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진수

십진수

A Class

0bbb bbbb. B. C. D 

0~127.B.C.D

B Class

10bb bbbb. B. C. D

128 ~ 191.B.C.D

C Class

110b bbbb. B. C. D

192 ~ 223.B.C.D

D Class

1110 bbbb. B. C. D

224 ~ 239.B.C.D

E Class

1111 bbbb. B. C. D

240 ~ 255.B.C.D


- 예약된 주소

0.0.0.0 모든 ip주소를 지칭

라우팅 테이블에서 0.0.0.0 0.0.0.0 : default route

127.0.0.0 Localhost   127.0.0.0~127.255.255.255

자가테스트용  cmd> ping 127.0.0.1

169.254.0.0  Link Local address (DHCP로부터 IP를 받아오지못할때   OS가 랜덤한 주소를 할당)

D CLASS주소 : 224~239.X.X.X  특수목적용(멀티캐스트용)

E CLASS주소 : 240~255.X.X.X

255.255.255.255 Broadcast address

HOST ID가 모두 0인 경우 : Network Address

HOST ID가 모두 1인 경우 : Broadcast Address

  -> PC나 장비에 할당할 수 없음


*예약되어있으나 PC나 장비에 할당할 수 있는 주소 = 사설IP주소

  인터넷을 하기위해서는 NAT(주소변환) 기술이 적용되어야함

A CLASS

10.x.x.x

10.0.0.0/8

10.0.0.0 ~ 10.255.255.255 (subnet 1개)

B CLASS

172.16.x.x ~ 172.31.x.x

172.16.0.0/12

172.16.0.0 ~ 172.31.255.255  (subnet 16개)


172.16.0.0/16 172.16.0.0 ~ 172.16.255.255

172.17.0.0/16 172.17.0.0 ~ 172.17.255.255

172.18.0.0/16 172.18.0.0 ~ 172.18.255.255

....

172.31.0.0/16 172.31.0.0 ~ 172.31.255.255


C CLASS

192.168.x.x

192.168.0.0 /16

192.168.0.0~192.168.255.255 (subnet 256개)


192.168.0.0~192.168.0.255 /24

192.168.1.0~192.168.1.255

192.168.2.0~192.168.2.255

......

192.168.255.0~192.168.255.255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

- OSI 7계층의 기능과 의의, PDU, 대표장비 그리고 프로토콜


노트.txt



- IPv4 Header 파일의 구조와 각 기능(Bit에 맞춰 그림 그리기)


ip4 header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ARP의 정의와 역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를 MAC address로 바꿔주는 프로토콜이다. MAC address를 IP로 바꿔주는 프로토콜을 RARP(Reverse ~)라고 한다.



- ICMP의 정의와 역할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발생하는 에러 메세지나 정보들을 보여주는 프로토콜이다.






- TCP/UDP의 정의와 장단점


-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주요 인터넷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중에 하나로 프로토콜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분할된 데이터가 얼마나 전송되었는지 전송률을 확인할 수 없고,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UDP는 IP프로토콜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는 전제조건하에서 사용된다.


UDP header

[UDP Header. 출처: https://nmap.org/book/tcpip-ref.html]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UDP의 단점인 데이터 전송 상태와 전송율을 얻기 위한 전송 프로토콜이다.


TCP header

[TCP Header 출처. 상동]



- 3 way hand shake에 따른 상태

tcp state diagram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TCP Flag의 기능과 역할


TCP Flags는 총 8 bit로 C E U A P R S F로 이루어져 있지만 앞의 2 bit C E 는 사용하지 않는다. U는 Urgent로써 중요도를 나타내고, A는 Acknowledgement로 메세지를 받았다고 것을 나타낸다. P는 Push로써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의미를 뜻한다. R은 Reset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종료할 때 쓰인다. S는 Sync로써 동기화를 뜻한다. F는 Finish로써 종료를 나타낸다.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