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계층의 기능과 의의, PDU, 대표장비 그리고 프로토콜
- IPv4 Header 파일의 구조와 각 기능(Bit에 맞춰 그림 그리기)
- ARP의 정의와 역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를 MAC address로 바꿔주는 프로토콜이다. MAC address를 IP로 바꿔주는 프로토콜을 RARP(Reverse ~)라고 한다.
- ICMP의 정의와 역할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발생하는 에러 메세지나 정보들을 보여주는 프로토콜이다.
- TCP/UDP의 정의와 장단점
-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주요 인터넷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중에 하나로 프로토콜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분할된 데이터가 얼마나 전송되었는지 전송률을 확인할 수 없고,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UDP는 IP프로토콜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는 전제조건하에서 사용된다.
[UDP Header. 출처: https://nmap.org/book/tcpip-ref.html]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UDP의 단점인 데이터 전송 상태와 전송율을 얻기 위한 전송 프로토콜이다.
[TCP Header 출처. 상동]
- 3 way hand shake에 따른 상태
- TCP Flag의 기능과 역할
TCP Flags는 총 8 bit로 C E U A P R S F로 이루어져 있지만 앞의 2 bit C E 는 사용하지 않는다. U는 Urgent로써 중요도를 나타내고, A는 Acknowledgement로 메세지를 받았다고 것을 나타낸다. P는 Push로써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의미를 뜻한다. R은 Reset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종료할 때 쓰인다. S는 Sync로써 동기화를 뜻한다. F는 Finish로써 종료를 나타낸다.
반응형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Table 관리 (0) | 2017.03.30 |
---|---|
서브네팅과 라우팅 설정 (0) | 2017.03.28 |
OSI 7계층 정리 (0) | 2017.03.27 |
OSI 7계층: 4계층 전송계층(Transportation Layer) (0) | 2017.03.23 |
OSI 7계층: 데이터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0) | 201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