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IT/RFID2015. 12. 7. 17:04

==================================Outline====================================

리눅스 시리얼 통신

- 가상 시리얼 포트 설치

- 시리얼 데이터 통신의 기법

    - canonical

    - non-canonical

    - asynchronous

    - multi-flexing

----------------------------------------------------------------------------

 

리눅스 시리얼 통신

 

가상 시리얼 포트 설치

 

모든 장치는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간주한다.

 

 

'/dev' 디렉토리에 serial port 또한 파일로 존재한다.

 

 

가상 머신를 실행하여 시리얼 포트를 설치해보자. 가상 머신이 구동 중에는 시리얼 포트 설치가 불가함으로 ‘halt'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동을 중지 후 전원을 끈다.

 

그 후에 시리얼포트를 설치한다.

 

 

 





 

2개를 설치한다.

 

 

 

가상 머신을 사용하여 가상 머신과 본체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시리얼 포트를 설치한다.

 

 

요놈을 설치해준다. 설치 후 실행시킨다.

 

 

가상 시리얼 포트를 만들어준다.

 

 

하이퍼 터미널을 두 개 실행시켜서 통신을 해보자.

 

 

 

가상의 시리얼 포트는 재부팅을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VMware를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면 추가한 포트가 보이게 된다.

 

 

추가한 두 개의 포트에 가상 시리얼 포트를 하나씩 연결해준다.

 

가상 머신을 구동시킨다.

 

시리얼 포트 중에 2번째 것을 disconnect시킨다.

 

연결이 해제되면 해당 장치가 회색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리얼 데이터 통신의 기법

 

'struct termios'는 터미널의 input/output을 설정하는 구조체이다.

 



 

 

Canonical: 한 줄씩(엔터 전) 데이터를 통신한다. Dos의 기법과 같다.

Non-Canonical : 정해진 데이터 크기에 도달했을 때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 Canonicalnon-canonical의 송신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고정(non-canonical)이 되었는지 아닌지(canonical)의 차이이다.

 

Asynchronous: 소프트웨어적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Multi Flexing: select함수의 개념이다.


 

SPEED를 사용할 때 대문자 ‘B'를 붙여줘야 한다.

 

 

'O_NOCTTY'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보냈을 때 해당 내용을 송신하지 않고 내부적인 프로그램 명령어로 사용하라는 옵션이다.

 

//tc: terminal control

//attr: attribute

//get 명령어의 반대개념은 set이다.

 

Canonical

canonical 방식으로 시리얼 통신을 해보자. 하이퍼 터미널에서는 송신을 하고 canonical 프로그램에서는 받는 방식으로 하자.

 

 








 

리눅스에서 수신

 

 

리눅스에서 송신

 

 

 

Non-canonical

 

 

 

데이터가 5byte가 되면 수신하도록 설정해보자.

 

 

Asynchronous(인터럽트 방식)



 

fcntl로 인터럽트를 시리얼포트로 전송해준다.

 

//시리얼 통신은 canonical 혹은 non-canonical 중 반드시 하나를 사용해야 한다.




 


Multi-flexing 


동시에 두 곳 이상의 포트를 감시한다.

 




linux serial.pdf


반응형

'Busan IT > RF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s Serial 통신  (0) 2015.12.09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0) 2015.12.08
Posted by newind2000
Busan IT/WinAPI2015. 12. 2. 17:40

==================================Outline====================================

멀티쓰레드

----------------------------------------------------------------------------

멀티쓰레드

WinAPI에서는 select함수로 키보드 입력을 감시할 수 없다. 때문에 멀티쓰레드를 사용해야 한다.

 

쓰레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java는 일반적으로 쓰레드로 구현된다.

 

WinAPI에서 winProc함수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기다린다. 운영체제가 메시지를 던져주면 그 값을 받아 처리한다.

 

우선 멀티쓰레드를 구동시키는 함수가 필요하다.

 

HANDLE CreateThread(

1. LPSECURITY_ATTRIBUTES lpThreadAttributes,

2. SIZE_T dwStackSize,

3. LPTHREAD_START_ROUTINE lpStartAddress,

4. LPVOID lpParameter,

5. DWORD dwCreationFlags,

6. LPDWORD lpThreadId );

 

 

 

 

main 함수 내에서 멀티 프로세스를 구현하면 main 함수의 실행이 멈추면 main에 속한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때문에 쓰레드가 실행되는 동안 main 함수가 종료되지 않도록 유지시켜는 장치가 필요하다. 

 



 

멀티쓰레드를 구현하여 채팅을 구현해보자... 내일


반응형

'Busan IT > Win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sock 채팅 프로그램  (0) 2015.12.01
winsock을 사용한 서버/클라이언트 프로그램  (0) 2015.11.30
히스토그램 , 알파값  (0) 2015.11.25
WIN32API로 BMP뷰어  (0) 2015.11.22
20151118 윤재희 #5. 그래픽 & 게임  (0) 2015.11.18
Posted by newind2000
Busan IT/ARM Assembly2015. 12. 2. 13:30

==================================Outline====================================

Memory Map Symbol 이야기

ELF format Object File에 관한 진실. -c option (기계어 세상)

----------------------------------------------------------------------------

 

Memory MapSymbol 이야기

 

C에서는 변수나 명령어에 대한 심볼 테이블이 필요한다.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스택의 베이스 주소에서 떨어진 정도를 기준으로 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심볼 테이블이 필요 없다.

 

메모리 맵 파일은 실행파일을 만들 때 작성된다. 변수의 주소는 link 단계에서 결정된다. 실행 시 운영체제는 메모리의 보호를 위해 가상의 스택 베이스 주소를 설정하여 변수의 주소를 설정하기도 한다.

 

심볼테이블은 linker만이 참조한다. linking시 심볼 테이블의 심볼이 겹치는 경우 에러가 나기 때문에 똑같은 이름의 변수를 중복으로 사용할 경우 static 혹은 extern 명령어를 사용하여 linker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심볼 테이블은 모든 변수나 함수를 주소화 시킨다. 심볼 테이블은 한정된 메모리를 충돌 없이 사용하기 위해 존재한다.

 

지역 변수는 변수가 속한 함수에서 사용될 때, 즉 스택 포인터 아래에 있을 때만 보호 받는다. 해당 함수가 종료되면 변수는 사라지지는 않지만 더 이상 보호 받지는 못한다.

 

변동 없는 주소를 갖는 것은 함수와 전역변수, 지역변수는 스택의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다.

 

 

 

 

변수를 보고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ELF format Object File에 관한 진실. -c option (기계어 세상)

 

armcc로 컴파일한 obj파일을 hexaview사용하여 열어보자.

 

ELF형식임을 알 수 있다.

 

 

//시작 값인 0x7F10진수로 127, 아스키코드로 'DEL'키를 뜻한다.

 

 

SWS ESPC 0003 B-02를 검색하여 ARM ELF specification을 다운 받는다.

 

elf파일을 해석하는 프로그램이 linux에 존재한다. 'readelf'라는 명령어와 함께 object 파일 명을 입력하면 정보가 elf파일의 정보가 출력된다.

 

'fromelf'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binary로 된 데이터를 assembly로 바꿔서 출력해보자.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