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IT/공장내 Network2015. 4. 14. 17:37

구조체와 사용자 정의 자료형

 

학습목표

 

- 구조체, 공용체, 열거형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Linux 기초***/

 



---------------------------------------------------------------------------------




 

호출 시 포인터를 활용하면 reference방식이라 하고 호출 시 값을 사용하면 value방식이라 한다.

 

복잡한 구조체를 복사하는 것보다 포인터를 활용하여 해당 주소 값을 가리켜주면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고 속도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reference방식으로 코딩을 해보자.


compiler는 변수를 만들 때 메모리의 크기를 알 수 없으면 변수를 만들 수 없다.

하여 중첩 구조체를 만들 때 이미 선언된 구조체를 다음에 만들어주어야 한다.

공용체는 un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해서 정의한다. 문법은 구조체와 동일하고 뒤에 사용되는 변수의 값이 이전의 있던 변수 값에 덮어 씌어지게 된다.

p/489 예제

유니온은 주소 값이 동일하다!

 

p/489 예제






다음 시간에는 2차원 배열에 대해서 배운다!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