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체 포인트, linux 기초
학습목표
- 구조체 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다.
- 해커스쿨 training을 학습하고 개념을 이해한다.
Lever2, trainer2로 접속한다.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 '파일명‘
디렉토리 지우는 명령어 rmdir '파일명‘
네트워크와 C수업을 하자.
typedef는 C언어임으로 끝에 세미콜론을 붙힌다.
typedef_'oldtype'_'newtype';
긴 타입을 짧게 쓰기 위해 만들거나 혹은/또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비트필드구조체란 세미콜론뒤에 적힌 비트를 해당 변수에 지정해 주는 것이다.
비트필드는 과거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때 용량을 비트 단위로 할당해주기 위해 사용했던 것이다. 하지만 CPU가 비트단위로 연산을 하다보면 느려짐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비트필드구조체 사용의 예,
unsigned char A:4;
unsigned char B:4;
p/460 22-2; 구조체와 배열 그리고 포인터
예제 p/460,
p/462 예제
struct는 배열처럼 이름자체가 주소를 가리키지 않는다.
*p 에 괄호를 치는 이유는 dot 연산자(.)가 처리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이다.
Training Lesson 3
터미널<콘솔>과 네트워크에 관한 명령어들에 대해서 배운다.
현재 해커스쿨 서버에 어떤 사람들이 접속해 있는지 보고, 그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방법 등을 배운다.
서버 접속을 텔넷을 통해 했을 때
- 터미널을 통해 접속
서버 접속을 리눅스 설치 후 보팅하여 로그인 했을 때
- 콘솔을 통해 접속
// 211.179.125.85
p/464 예제,
p/465 예제,
p/467 예제
구조체 변수의 주소 값은 구조체 변수의 첫 번째 멤버의 주소 갑과 동일하다.
네트워크에 대하여 알아보자.
통신의 시초는 미국방성에서 전쟁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해 미국국방연구소인 DARPA와 AT&T의 벨 연구소 그리고 UC. Berkeley 3개의 단체에서 실험한 통신에서 유래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Busan IT > 공장내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차원 배열의 값과 주소 (0) | 2015.04.15 |
---|---|
구조체와 사용자 정의 자료형 (0) | 2015.04.14 |
Linux 기초 및 구조체의 메모리 구조 (0) | 2015.04.13 |
리눅스 기본 (0) | 2015.04.09 |
고정 네트워크 설정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