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IT/정보처리기사'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5.10.23 2015년 3회 정보처리기사 후기 1
- 2015.08.14 데이터 통신
<데이터 통신>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정답율: 23%]
① HDLC
② SDLC
③ LAPB
④ BSC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11%]
① X.25 패킷 레벨의 프로토콜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수신 통지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② 송신측과 수신측 실체(entity)간에 호출설정 시 연속적으로 송신 가능한 데이터 단위의 최대치를 절충하는 방식이다.
③ 수신측으로 부터의 수신통지에 의해 윈도우는 이동하고 새로운 데이터 단위의 송신이 가능하다.
④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한 후 응답이 올 때까지 다음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지 않고 대기하는 방식이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헤더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72%]
① Padding(P) 필드가 세팅되어 있는 경우는 그 패킷의 끝에 전송하려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인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② Marker(M) 필드는 패킷 스트림에서 프레임들 간의 경계에 존재하는 특별한 경우를 표시한다.
③ Extension(X) 필드가 세팅되어 있는 경우는 RTP헤더 앞에 확장 헤더가 있음을 의미한다.
④ Payload Type(PT) 필드는 데이터가 어떤 형식인지를 지정한다.
PSK(Phase Shift Keying) 방식이 적용되지 않은 변조 방식은?
[정답율: 76%]
① QDPSK
② QAM
③ QVM
④ DPSK
86. VAN의 주요 통신처리 기능 중 회선의 접속이나 제어 절차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기종간의 통신이 가능 하도록 통신절차를 변환시키는 기능은?
[정답율: 11%]
① 프로토콜 변환 기능
② 미디어 변환 기능
③ 포맷 변환 기능
④ 데이터 교환 기능
87. CSMA/CD(Carrier Sensing Muli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72%]
① 전송 중에 충돌이 감지되면 패킷의 전송을 즉시 중단하고 충돌이 발생한 사실을 모든 스테이션들이 알 수 있도록 간단한 통보신호를 송신한다.
② 스테이션의 수가 많아지면 충돌이 많아져서 효율이 떨어진다.
③ 충돌과 채널 경쟁을 위해 p-persistent 기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④ 어느 한 기기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다른 기기의 통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88.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13%]
① 물리계층의 표준으로 X.21을 사용한다.
② 링크 계층의 표준은 LAPB을 사용한다.
③ 패킷형 단말기를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다.
④ 물리 계층과 링크 계층인 2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89. B-ISDN 프로토콜 참조 모델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은?
[정답율: 10%]
① Data Link Layer
② Asynchronous Transfer Mode Layer
③ Asynchronous Transfer Mode Adaptation Layer
④ Physical Layer
90. 송신측에서 (1101)₂ 의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나, 수신측이 받은 데이터는 (1011)₂로 나타났다. 이 때 두 데이터간의 해밍거리로 옳은 것은?
[정답율: 14%]
① 1
② 2
③ 3
④ 4
92. LAN의 통신 구조가 가능한 한 호환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을 2개의 서브 계층으로 나누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율: 6%]
① 상위 서브 계층 : LLC, 하위 서브계층 : LAPB
② 상위 서브 계층 : HDLC, 하위 서브계층 : MAC
③ 상위 서브 계층 : HDLC, 하위 서브계층 : LAPB
④ 상위 서브 계층 : LLC, 하위 서브계층 : MAC
95. 패킷교환 방식에서 패킷을 작게 분할할 경우의 단점이 아닌 것은?
[정답율: 9%]
① 헤더가 증가된다.
② 노드지연시간이 증가된다.
③ 패킷의 분할/조립시간이 늘어난다.
④ 전체적인 전송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97. TCP/IP 프로토콜 중 인터넷 계층에 대응하는 OSI 참조 모델의 계층은?
[정답율: 78%]
① Physical Layer
② Presentation Layer
③ Network Layer
④ Session Layer
81. IP(internet Protocol)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43%]
① 비연결형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비신뢰성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데이터그램 이라는 데이터 전송형식을 갖는다.
④ 스트림(stream)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8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데이터 교환 방식은?
[정답율: 43%]
① 메시지 교환 방식
② 공간분할 교환방식
③ 가상회선 방식
④ 데이터그램 방식
81. IP(internet Protocol)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43%]
① 비연결형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비신뢰성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데이터그램 이라는 데이터 전송형식을 갖는다.
④ 스트림(stream)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88. Go-Back-N ARQ와 Selective Repeat ARQ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40%]
① Go-Back-N ARQ는 오류 발생 이후의 모든 프레임을 재요청 한다.
② Selective Repeat ARQ는 버퍼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③ Go-Back-N ARQ는 프레임의 송신 순서와 수신 순서가 동일해야 수신이 가능하다.
④ Selective Repeat ARQ는 여러 개의 프레임을 묶어서 수신 확인을 한다.
89.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인 CSMA/C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20%]
① 버스 또는 트리 토플로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이다.
② 각 호스트들이 전송매체에 경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③ 토큰 패싱 방식에 비해 구현이 복잡하다.
④ 프레임을 전송하면서 충돌여부를 조사한다.
94.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정보 프레임의 용도 및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율: 20%]
① 사용자 데이터 전달
② 흐름 제어
③ 에러 제어
④ 링크 제어
96. 점대점 링크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PPP(Point to Poi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15%]
① 재전송을 통한 오류 복구와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② LCP와 NCP를 통하여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③ IP 패킷의 캡슐화를 제공한다.
④ 동기식과 비동기식 회선 모두를 지원한다.
98. 회선교환과 패킷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율: 44%]
① 회선교환은 실시간 정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② 패킷교환은 데이터 속도와 코드변환이 불가능하다.
③ 회선교환은 호 설정 이후 에러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④ 패킷교환은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99. Stop-and-wait ARQ 방식에서 수신측이 4번 프레임에 대해 NAK를 보내왔다. 이에 대한 송신측의 행위로 옳은 것은?
[정답율: 46%]
① 1, 2, 3, 4번 프레임을 재전송 한다.
② 현재의 윈도우 크기만큼을 모두 전송한 후 4번 프레임을 재전송 한다.
③ 5번 프레임부터 모두 재전송 한다.
④ 4번 프레임만 재전송 한다.
82. OSI 7계층 중 암호화, 코드변환, 데이터 압축의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은?
[정답율: 10%]
① Data link Layer
② Application Layer
③ Presentation Layer
④ Session Layer
83. 블루투스(Bluetoot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9%]
① 양방향 통신을 위해 FDD 방식을 사용한다.
② 2.4GHz의 ISM 밴드를 이용한다.
③ 회로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④ 간섭에 비교적 강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채용한다.
86.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9%]
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서버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② 지속(persistent)연결과 비 지속(nonpersistent)연결 두 가지를 모두 허용한다.
③ HTTP 명세서 1.0(RFC 1945)과 1.6(RFC 2616)에서 HTTP의 메시지 형식을 정의한다.
④ WWW(World Wide Web)에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데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다.
93.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43%]
① 송신스테이션과 수신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교환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음성이나 동영상과 같이 연속적이면서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전송 및 에러 제어와 복구에 적합하다.
③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화시스템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④ 송신과 수신스테이션 간에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항상 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로가 제공되는 셈이다.
94. 비동기 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45%]
① 비동기 전송에서 수신기는 자신의 클록 신호를 사용하여 회선을 샘플링하고 각 비트의 값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② 문자 전송 시 맨 앞에 시작을 알리기 위한 start bit를 두고, 맨 뒤에는 종료를 알리는 stop bit를 둔다.
③ 어떤 문자라도 전송되지 않을 때는 통신 회선은 휴지(idle) 상태가 된다.
④ 송수신기의 클록 오차에 의한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짧은 비트열은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타이밍 오류를 피한다.
95. X.25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정답율: 45%]
① 패킷 계층
② 링크 계층
③ 물리 계층
④ 네트워크 계층
96. IEEE 802 표준모델에 대해 옳게 연결된 것은?
[정답율: 41%]
① 802.2 ? 토큰버스
② 802.5 ? 토큰링
③ 802.4 ? LLC
④ 802.6 ? CSMA/CD
97.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정답율: 11%]
① entity
② syntax
③ semantic
④ timing
98. 협대역 ISDN에서 사용하는 D채널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율: 11%]
① 회선 교환 방식을 위한 신호기능 정보의 전송
② 1536Kbps의 사용자 정보 전송
③ 고속 팩시밀리, 화상 회의와 같은 고속정보 전송
④ 패킷 교환방식에 의한 384Kbps 이하의 정보 전송
100. 다음 설명이 해당하는 다중접속방식은?
[정답율: 42%]
① FDMA
② CDMA
③ TDMA
④ SFMA
81. OSI-7계층 중 프로세스간의 대화 제어(dialogue control) 및 동기점(synchronization point)을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복구를 제공하는 계층은?
[정답율: 67%]
① Data Link layer
② Network layer
③ Transport layer
④ Session layer
87.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정답율: 21%]
① 핸드오프
② 모바일 IP
③ 셀 채인지
④ 헤더 변환
90.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AS(Autonomous System)간의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것은?
[정답율: 16%]
① BGP
② RIP
③ OSPF
④ LSA
95. 다중접속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율: 11%]
① FDMA
② SDMA
③ TDMA
④ CDMA
96.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인 HDLC에서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정답율: 20%]
① 플래그(Flag)
② 제어부(Control)
③ 정보부(Information)
④ 프레임 검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98. 도착한 메시지를 일단 저장한 후 다음 노드로 가는 링크가 비어 있으면 전송해 나가는 교환 방식은?
[정답율: 10%]
① 회선교환
② 메시지교환
③ 데이터그램 패킷교환
④ 가상회선 패킷교환
99. IEEE 802 표준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을 MAC, LLC 두 개의 부 계층으로 나누고 있다. 이 중에서 MAC 부 계층의 역할은?
[정답율: 56%]
① 논리적 주소의 결정
② 다른 통신망 형태에 프레임을 전송
③ 상위계층과의 인터페이스
④ 어느 노드에게 통신기회를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
91. HDLC를 기반으로 하며, ISDN의 D채널을 위한 링크 제어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것은?
[정답율: 23%]
① LAP-B
② LAP-M
③ LAP-D
④ LLC
9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64%]
① IP 프로토콜에서는 오류 보고와 수정을 위한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② ICMP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③ ICMP 메시지는 하위 계층으로 가기 전에 IP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내에 캡슐화 된다.
④ ICMP 메시지는 4바이트의 헤더와 고정 길이의 데이터 영역으로 나뉜다.
93.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23%]
① Session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② RTCP 패킷은 항상 16비트의 경계로 끝난다.
③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④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94. IEEE 802.4의 표준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답율: 11%]
① 토큰 버스 LAN
② 토큰 링 LAN
③ CSMA/CD LAN
④ 무선 LAN
95. 일반적으로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음성전화 채널 당 8bit씩 매 125㎲마다 할당한다면 데이터 전송률은?
[정답율: 21%]
① 32kbps
② 64kbps
③ 1kbps
④ 10kbps
96.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66%]
① ITU-T에서는 1976년 패킷 교환망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X.25 권고안을 처음으로 발간하였다.
② 패킷형 단말기를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다.
③ 물리 계층과 링크 계층, 패킷 계층이라는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X.25에서는 가상회선을 가상 호와 반영구 가상회선의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정의하며, 모든 패킷은 최소 1옥텟의 헤더를 가진다.
98. 채널용량(Channel Capacit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16%]
① 정해진 오류 발생률 내에서 채널을 통해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의미한다.
② 측정 단위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수(bps)로 나타낸다.
③ 샤논(Shannon)은 채널용량을 으로 나타내었다.
④ 채널을 통해서 보내지는 데이터의 양은 그 채널의 대역폭(Bandwidth )과 비례한다.
99. 다음 중 TC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정답율: 14%]
① 긴급 포인터
② 호스트 주소
③ 순서 번호
④ 체크섬
88. HDLC 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유형이 아닌 것은?
[정답율: 10%]
① Information Frame
② Supervisory Frame
③ Unnumbered Frame
④ Control Frame
90. 패킷 교환 방식 중 가상 회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율: 6%]
① 네트워크 내의 노드나 링크가 파괴되거나 상실되면 다른 경로를 이용한 전송이 가능하므로 유연성을 갖는다.
② 경로 설정에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한 스테이션에서 소수의 패킷을 보내는 경우에 유리하다.
③ 매 패킷 단위로 경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혼잡이나 교착 상태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한다.
④ 패킷들은 결오가 설정된 후 경로에 따라 순서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이다.
91. 토큰링 방식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표준안은?
[정답율: 10%]
① IEEE 802.2
② IEEE 802.3
③ IEEE 802.5
④ IEEE 802.6
93. TCP/IP 모델에 해당하는 계층이 아닌 것은?
[정답율: 10%]
① Network Access
② Transport
③ Application
④ Session
95. TCP/IP 모델의 인터넷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율: 10%]
① IP프로토콜을 사용한다.
② 경로선택과 독주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③ 최선형의 비연결형 패킷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④ End to End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98.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율: 14%]
① OSPF 라우터는 자신의 경로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LSA라는 자료구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라우터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전송한다.
② 라우터 간에 변경된 최소한의 부분만을 교환하므로 망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③ 도메인내의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RIP가 가지고 있는 여러 단점을 해결하고 있다.
④ 경로수(Hop)가 16으로 제한되어 있어 대규모 네트워킹에 부적합하다.
![]()
![]()
| ![]()
![]()
|
88. |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정답율: 11%] |
① HDLC | |
② PPP | |
③ LAPB | |
④ LLC |
90. | 전송 매체상의 전송 프레임마다 해당 채널의 시간 슬롯이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다중화 방식은? [정답율: 18%] |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 | |
②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
③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 |
④ 코드 분할 다중화 |

93. | 최초의 라디오 패킷(radio packet) 통신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답율: 15%] |
① DECNET | |
② ALOHA | |
③ SNA | |
④ ARPANET |

99. | 데이터 전송에 있어 데이터 그램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적합한 것은?w [정답율: 28%] |
① 음성이나 동영상과 같이 연속적인 전송 | |
② 응답시간이 별 문제가 되지 않는 전자 우편이나 파일 전송 | |
③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짧은 메시지의 전송 | |
④ 최대 길이가 제한된 데이터 전송 |

100. |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정보 프레임에 대한 용도 및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율: 50%] |
① 사용자 데이터 전달 | |
② 흐름 제어 | |
③ 에러제어 | |
④ 링크제어 |
'Busan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3회 정보처리기사 후기 (1) | 2015.10.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