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컨트롤러 - 변수 공유 및 보완을 위한 명령어/LCD datasheet를 토대로 한 ATmega 기초코딩
학습목표
명령어 static/extern를 이해할 수 있다.
LCD datasheet의 timetable을 보고 LCD 작동을 위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extern과 static의 활용
전역변수에 static을 앞에 붙이면 외부파일에서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전역변수에 extern을 사용하면 해당 함수를 외부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tatic은 보완 또는 공유방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static과 extern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static이 우선적으로 작용한다.
= static > extern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하나씩 분석해 보자!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E를 실행시켜야 한다.
RS와 RW를 설정해 놓고 E를 활성화 해야 한다. 구체적인 데이터는 데이터버스를 활용하여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enable은 trigger로써 데이터 전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장치에 대한 프로그램을 driver라고 한다.
우선 초기화를 해보자.
함수의 prototype은 헤더파일의 끝에 넣도록 하자. //이유는 다음에 설명
금일(3/18)까지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반응형
'Busan IT > 스마트 컨트롤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0) | 2015.03.20 |
---|---|
LCD 기본 프로그래밍 (0) | 2015.03.19 |
LCD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초 작업 (0) | 2015.03.17 |
포인터의 이해&LCD Datasheet (1) | 2015.03.16 |
1차원 배열의 입력과 출력 (0) | 201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