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포인터 & 라즈베리파이 사용자 계정으로 root계정 변환
학습목표
- 다중 포인터의 문법과 내용을 이해한다.
- 라즈베리파이의 사용자 계정을 root계정으로 변환 시킬 수 있다.
더블 포인터를 활용한 포인터 값의 변환
지난 시간 수업 내용과 동일.
자세한 내용은 교재 참조.
라즈베리 파이 명령어
//chown, chgrp ??? 이야기만 꺼내고 설명은 하지 않은 명령어
// chown: 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주와 소유그룹 변경 ex) chown 파일명 권한
계정 바꾸기: su - 계정
관리자 계정으로 바꾸기: su -
맨 밑에서 아랫줄
newind2000(id):x(비밀번호 표시 안함):0(계정번호, root=0):0(그룹번호, root=0):,,,(계정과 관련한 신상정보):/home/newind2000(시작 경로):/bin/bash(사용하는 쉘)
운영체제의 핵심을 커널(kenel)이라 부르고 그 주위를 함수 또는 명령어로 쌓여져 있고 그 주변을 쉘이 감싸고 있어 커널을 이용하려면 함수 또는 명령어 아니면 쉘로 접근 가능하다.
//bash(bone again shell)
//hash함수는 인자와 결과 값이 중복되지 않고 하나의 값만 갖는 함수
비밀번호가 저장된 파일을 여는 명령어: sudo -nano /etc/shadow
비밀번호가 암호화 된 형태로 적혀있다.
nano /etc/group 입력 후 자신의 아이디가 있는 자리의 정보를 삭제해준다.
저장 후 나온다.
Ctrl + D로 로그 아웃 후
su - 자신의 아이디 를 치면 root계정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짜잔!
'Busan IT > 공장내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 포인터, Linux vi 편집기의 설치와 사용 (0) | 2015.04.22 |
---|---|
2차원 포인터와 배열, 라즈베리파이 권한 및 그룹 변경, 삼바 네트워크 설정 (0) | 2015.04.21 |
포인터와 3차원 배열 (0) | 2015.04.17 |
포인터를 활용한 1/2차원 배열의 값과 주소 (0) | 2015.04.16 |
다차원 배열의 값과 주소 (0) | 201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