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IT/ARM Assembly2015. 12. 2. 13:30

==================================Outline====================================

Memory Map Symbol 이야기

ELF format Object File에 관한 진실. -c option (기계어 세상)

----------------------------------------------------------------------------

 

Memory MapSymbol 이야기

 

C에서는 변수나 명령어에 대한 심볼 테이블이 필요한다.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스택의 베이스 주소에서 떨어진 정도를 기준으로 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심볼 테이블이 필요 없다.

 

메모리 맵 파일은 실행파일을 만들 때 작성된다. 변수의 주소는 link 단계에서 결정된다. 실행 시 운영체제는 메모리의 보호를 위해 가상의 스택 베이스 주소를 설정하여 변수의 주소를 설정하기도 한다.

 

심볼테이블은 linker만이 참조한다. linking시 심볼 테이블의 심볼이 겹치는 경우 에러가 나기 때문에 똑같은 이름의 변수를 중복으로 사용할 경우 static 혹은 extern 명령어를 사용하여 linker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심볼 테이블은 모든 변수나 함수를 주소화 시킨다. 심볼 테이블은 한정된 메모리를 충돌 없이 사용하기 위해 존재한다.

 

지역 변수는 변수가 속한 함수에서 사용될 때, 즉 스택 포인터 아래에 있을 때만 보호 받는다. 해당 함수가 종료되면 변수는 사라지지는 않지만 더 이상 보호 받지는 못한다.

 

변동 없는 주소를 갖는 것은 함수와 전역변수, 지역변수는 스택의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다.

 

 

 

 

변수를 보고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ELF format Object File에 관한 진실. -c option (기계어 세상)

 

armcc로 컴파일한 obj파일을 hexaview사용하여 열어보자.

 

ELF형식임을 알 수 있다.

 

 

//시작 값인 0x7F10진수로 127, 아스키코드로 'DEL'키를 뜻한다.

 

 

SWS ESPC 0003 B-02를 검색하여 ARM ELF specification을 다운 받는다.

 

elf파일을 해석하는 프로그램이 linux에 존재한다. 'readelf'라는 명령어와 함께 object 파일 명을 입력하면 정보가 elf파일의 정보가 출력된다.

 

'fromelf'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binary로 된 데이터를 assembly로 바꿔서 출력해보자.




 

 

반응형
Posted by newind2000